코로나가 장기화 되면서 건강관리에 더욱 주의를 요하고 있는데요
이에 올해 독감주사 또한 많은 사람들이 맞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독감 부작용이 잇따르면서 무료 접종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에 접종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고 하는데요. 독감주사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육통, 주사부위 발적
백신 부작용은 주사를 맞은 후 팔이 아프거나 붉어지고 부어오르는 증상입니다.
간혹 주사부위가 가렵거나 뻐근하다는 느낌을 받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는 면역 체계가 백신에 반응하고 항체를 생성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오랫동안 지속되는 증상은 아닙니다. 혹시라도 근육통이 지속 된다면, 이부프로펜 계열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주사부위가 가려울 때도 있는데요.
가렴움이 심하더라도 주사부위를 긁어서는 안되며 냉찜질로 진정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두통,미열
두통이나 미열을 동반할 수 있으며, 독감접종 후 당일 저녁부터 미열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혹 사람에 따라 속이 메슥거리는 구역질을 느낄 수도 있지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접종 후 나타나는 증상은 신체가 독감 백신에 적응하기 위한 반응이라고 밝혔습니다.
3. 알레르기 반응
독감 백신, 젤라틴, 항생제 또는 기타 성분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의 징후로는 호흡 곤란, 쌕쌕 거림, 눈이나 입술 주변의 부기, 두드러기, 고열 및 빠른 심장 박동이 포함되지만, 전문가들은 알레르기 증상이 있더라도 독감 예방 주사로 인해 생명에 위협을 받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설명했습니다.
4. 설사
특히 소아, 노약자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보통 오래가지 않지만 보통 장애가 계속 있을 경우 고열이 동반 할 수 있어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위 증상들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독감주사의 부작용이지만, 주사 이후 숨을 헐떡일 정도로 호흡이 곤란한 상황이라면 위험하다고 합니다. 눈가나 입가가 부어오르거나 몸에 두드러기가 난다면 통상적인 부작용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심한 무력감이나 어지럼증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이런 부작용을 감안하여 의사들은 몸살이나 두통 고열 등 몸 상태가 좋지 않으면 접종을 미루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접종 당일에는 목욕하지 않는 편이 안전하기 때문에 접종 전날 목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사람도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으니,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접종 하시길 바랍니다.
독감 백신 접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접종후에는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이상반응이 있는지 관찰하고 머무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백신 접종 직후 주사 부위를 세게 문지르지 않아야 합니다.
접종 당일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접종 후 2~3일간은 이상반응을 세심하게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천지식정보타운 분양일정 알아봐요 (0) | 2020.11.02 |
---|---|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금 지급 연장, 지금 신청하세요! (0) | 2020.11.02 |
임산부 독감접종 Q&A (0) | 2020.10.31 |
2020 코리아세일페스타 (0) | 2020.10.30 |
환절기 감기예방하는 꿀팁! (0) | 2020.10.29 |